<1>공통 컬렉터(Common-Collector) 회로
CC증폭기로도 불린다.
emitter가 입력 전압을 따라가기 때문에 또 다른말로 Emitter follower
Transistor의 입력 임피던스 Zi는 높고 버퍼다 출력 임피던스 Zo은 낮기 때문에 버퍼이다.
트랜지스터는 대부분 스위치 용도로 쓰이나 버퍼에서는 예외적으로 증폭기로 쓰인다.
OrCAD 회로도
Pspice Model
>. Av 증폭 이득(amplifier gain)은 거의 1이나 출력 전압이 미세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.
<2> Emitter Follower(BJT) vs Source Follower(MOSFET)
>. Emitter Follower가 가장 많이 쓰이지만 BJT대신 FET 트랜지스터를 쓰기도 한다.
BJT가 가격이 싸고 전류 구동능력이 좋아 전류 증폭 효과가 좋다.
하지만 전력 소모 측면에서 Source Follower가 유리해 Battery-standby를 위해 SourceFollower 회로를 쓰기도 한다.
<3> OP-AMP 버퍼
Pspice model
OP-AMP를 사용하면 트랜지스터와 다르게 전압 이득이 1과 거의 같은 형태인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OP-AMP 사용시 IC를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싸지만
Ri = 거의 무한대 Ro = 거의 0 이므로 이상적인 버퍼로 보인다.
하지만 OP-AMP의 큰 단점인 bandwidth limit 때문에 저주파에서만 사용 가능하다
'HW 설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vel Shifter 회로 (0) | 2021.11.03 |
---|